
운동 발달이 또래보다 느린 8세 아이를 위한 신체 놀이는 단순한 놀이가 아니라 성장과 발달을 돕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운동 능력이 부족하면 자신감 저하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아이가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맞춤형 신체 놀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운동 발달 지연을 보이는 아이에게 도움이 되는 신체 놀이 방법을 소개합니다.

균형 감각을 키우는 놀이
균형 감각은 운동 발달의 기본이 됩니다. 균형 잡는 능력이 부족하면 걷기, 달리기, 점프 등의 기본적인 신체 활동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균형을 키우는 놀이를 통해 아이가 몸을 더 잘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 한 발로 서 있기: 한 발로 5~10초 동안 서 있는 놀이를 합니다. 난이도를 조절하려면 손을 흔들거나 눈을 감게 해보세요.
- 줄 타기 놀이: 바닥에 테이프나 줄을 붙여놓고, 줄을 따라 걷는 놀이를 합니다.
- 트램펄린 점프: 트램펄린에서 뛰면서 몸의 균형을 잡는 연습을 합니다.
- 발판 놀이: 쿠션이나 작은 상자를 놓고 뛰어오르거나 건너뛰는 놀이를 합니다.
- 짐볼 활용: 짐볼 위에 앉아서 균형을 잡는 놀이를 하면 코어 근육이 발달합니다.

소근육 발달을 돕는 놀이
운동 발달 지연을 보이는 아이들은 종종 손과 손가락 근육의 힘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손놀이를 해보세요.
- 클레이 놀이: 점토나 클레이를 주물러 모양을 만들며 손 근육을 강화합니다.
- 종이 찢기 놀이: 신문지나 색종이를 찢고 구기면서 손과 손가락의 힘을 기릅니다.
- 빨대 꿰기: 구멍이 뚫린 구슬이나 빨대를 실에 꿰어보는 놀이를 합니다.
- 물건 집기 놀이: 집게를 이용해 작은 물건을 옮기며 소근육을 단련합니다.
- 퍼즐 맞추기: 손가락을 세밀하게 조작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 퍼즐을 맞춰보세요.

대근육 발달을 돕는 놀이
대근육은 신체의 큰 근육 그룹으로, 아이가 자유롭게 움직이고 활동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운동 발달이 느린 아이는 대근육이 약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강화하는 놀이가 필요합니다.
- 짐볼 굴리기: 큰 공을 손으로 밀거나 다리로 차며 대근육을 단련합니다.
- 동물 흉내 내기: 개구리처럼 점프하거나 곰처럼 기어가는 놀이를 합니다.
- 터널 놀이: 터널을 기어서 지나가는 놀이를 하면 전신 근력이 강화됩니다.
- 줄넘기 놀이: 초반에는 줄 없이 뛰는 연습을 하고 점차 줄넘기를 익혀갑니다.
- 언덕 오르기: 낮은 언덕이나 미끄럼틀을 기어서 올라가는 놀이를 합니다.

협응력을 키우는 놀이
손과 발의 협응력이 부족하면 공을 차거나 던지는 동작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협응력을 키우는 놀이를 통해 전반적인 운동 능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 공 던지고 받기: 작은 공을 던지고 받으며 눈과 손의 협응력을 높입니다.
- 배드민턴 풍선 놀이: 배드민턴 채나 손으로 풍선을 쳐서 떨어뜨리지 않는 놀이를 합니다.
- 리듬 게임: 음악에 맞춰 손뼉을 치거나 발을 움직이는 게임을 합니다.
- 스카프 던지기: 가벼운 스카프를 던지고 받으며 속도를 조절하는 연습을 합니다.
- 장애물 통과 놀이: 다양한 장애물을 만들어 넘어가거나 통과하는 놀이를 하면 신체 협응력이 향상됩니다.

감각 통합을 돕는 놀이
감각 통합이 원활하지 않으면 운동 능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감각을 자극하는 놀이를 통해 몸을 조절하는 능력을 길러보세요.
- 촉감 놀이: 모래, 쌀, 물 등을 만지면서 감각을 자극합니다.
- 눈 감고 걷기: 눈을 감고 로프를 따라 걷는 놀이를 하면 감각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 온몸으로 그림 그리기: 커다란 종이에 손이나 발로 그림을 그리며 전신을 사용합니다.
- 점프 매트 놀이: 다양한 질감의 매트를 밟으며 걷거나 점프하는 놀이를 합니다.
- 냄새 맞추기 게임: 다양한 향을 맡아보고 어떤 냄새인지 맞춰보는 놀이를 합니다.

운동 발달 지연을 돕기 위한 부모의 역할
운동 발달 지연을 보이는 아이는 신체 놀이뿐만 아니라 부모의 꾸준한 격려와 지지가 필요합니다. 아이가 즐겁게 참여할 수 있도록 부모가 함께 놀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놀이 시간을 정기적으로 확보하기: 매일 20~30분 정도 신체 놀이 시간을 가집니다.
- 긍정적인 피드백 제공하기: 작은 성취에도 칭찬하며 자신감을 키워줍니다.
- 강요하지 않기: 아이가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놀이처럼 자연스럽게 접근합니다.
- 아이의 흥미에 맞추기: 아이가 좋아하는 놀이를 중심으로 운동을 유도합니다.
- 전문가 상담 고려하기: 운동 발달이 심하게 지연될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불펌 무단복제 이미지 캡쳐를 금지합니다 ***